본문 바로가기

어스2 개념알기

어스2 용어정리 #2 - E2V1 Ecosim

[포털 Portal]

어스2 안에서나 밖에서나 게임으로 연결해 주는 것. 어스2 내부에서 웹2.0 과 웹3.0을 볼 수 있음.

 

 

[타일 Tile] - 계획사항임.
E2V1에서의 타일크기는 19.08m X 19.08m 로 확정되었음. 

Ethereum Virtual Machine (EVM) 호환 네트워크에서 ERC-721 토큰 (NFT)로 발행되어 클레임 할 수 있음 --> 랜드 타일을 온체인에 완전히 통합시키는 첫 단계가 될 것임. 

랜드 NFT로 거버넌스 결정에 추가적인 투표권 부여됨. 

홀더는 DAO 제안를 할 수 있음.

 

1) 글로벌 규모의 어스2 투표권

2) 타일 소유자가 위치한 국가 안에서 발생되는 투표권

3) 주/지방 단위로 타일소유자가 위치한 지역 내 투표권

4) 타일 소유자는 하나의 메가시티에 Voting Power를 할당할 수 있고 해당 메가시티 내 투표권

5) 타일 소유자는 하나의 길드에 Voting Power를 할당할 수 있고 해당 길드네 투표권

 

2023년 개시된 티어3 오픈지역에 위의 투표권행사가 적용되었음 (DAO의 형태임)
티어1 타일 1개 --> 10votes
티어2 타일 1개 -->   5votes
티어2 타일 1개 -->  미정
에센스  1개       -->   1votes

 


[플레이어 Player]
어스2 에코심에서의 다양한 플레이어 형태

 

Basic Player : 어스2 플랫폼 내에서의 경험이나 P2E기회 보상등을 찾는 소비자로 아바타를 만들고 어스2를 탐험하며 P2E를 하고 에센스/E$를 저축함

Land Owner : 플레이어를 고용하고 (Axie Scholarship과 유사) 토지를 관리하며 투표권이 있으며 광고를 수주하고 아이템을 거래할 수 있음.

Ecosim Player : 플레이어들은 여러 가지 자원과 빌딩블록등의 운송과 매매과정에서 에센스, 빌딩블록, 자원 등의 디지털자산을 얻을 수 있음.
PVP Player (Gamer) : 드론을 만들거나 판매, 드론을 날려 공격 및 방어, 길드생성 및 관리, 게임 내 약탈, 지역/프로퍼티 통제, 운송수단에 주얼슬로팅 숙련 등
Creative Player : 창의적인 영역을 전문으로 하는 플레이어로 메가시티, 에코심빌딩, 창작물 발행(mint creation), Yellow Co-Op Energy 획득을 함. 커스터마이징 이모티콘, 커스터마이징 거주 및 상업건물, 전투아레나 생성, xyz를 활용하여 비디오 및 사진콘텐츠. (xyz 대신 현재2024.1.6  r/ga 에서 새로운 SNS lobbi를 개발대행 완료하였으며 배포시기를 조율 중임)

 

[아바타 Avartar]
E2V1에서 활동하는 내 계정의 아바타.
최초의 Avartar 'Kyung'이 출시됨. E2V1 프리알파에서는 보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

 


[이코심 빌딩 Ecosim Building]
이코심빌딩의 건설은 비용이 거의 들지 않을 것임(2022.05.15) 

이코심빌딩은 일정량의 빌딩블록이나 raw material을 저장할 수 있으나 용량이 초과되면 운송수단을 이용해서 다른 곳 (다른 프로퍼티, 건설현장, 트레이딩 허브)으로 이동시켜야 함. / 2022.06.27 Dev#8 에코심 빌딩은 어스2로 부터 구매하는 것이 아니고, 어스2 안에서 매수, 매도, 운송, 가로채기, 관리 등의 활동을 통해서 빌딩을 짓는 것이므로 어스2 안에서의 활동으로만 이코심빌딩을 얻을 수 있음. 어스2 안에서 이코심을 활용하고 수익을 내고 싶다면, 아바타가 거주할 수 있는 가상 개인공간이 필요한데, 건물주로부터 세를 얻을 수도 있고 건물주는 임차하는 플레이어와 서비스 계약을 맺을 수도 있음.

 

 

[스토리지 유닛 Storage Unit] 

스토리지 유닛을 토지 저장공간을 측정하는 단위. 예를 들어 담수와 금의 부피 대비 가치가 크게 다르며 자원마다 고유의 자체 부피를 가지고 있어 스토리지 단위로 변환 비율이 있음

 

 

 

[스토리지 빌딩 Storage Building]

특정한 개수의 저장단위 Storage Unit으로 구성된 스토리지빌딩은 저장할 수 있는 자원의 양으로 변환됨. 홀로빌딩의 스토리지 크기만큼 스토리지 빌딩으로 이전될 것임.

 

 

[리서치랩 Research Lab]

2022.05.15 유튜브공개 - 각종 생산공장의 블루프린트 연구를 담당하며 완성된 블루프린트로 contour survey report 등고선 측량보고서를 생성함.

연구소 블루프린트를 갖게 되면 프로퍼티에 배치하고 홀로빌딩으로 활성화시켜야 함.

홀로빌딩이 활성화되면 수집된 자원을 활용하여 드로이드에게 실제 빌딩을 건설하도록 명령해야 함.

공학적 목적의 에코심빌딩 (워터프로세서, 리그네이터 등)을 상위 티어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음.

프로퍼티 병합가능 언질.

 

 

[리그네이터  Lignator]

Wood Blockbuilding Maker, Lab에서 연구를 마치면 홀로빌딩형태로 설치가능하며 설치 후 유저가 드로이드에게 건설을 명령하여 건설. 

건축용 목재 빌딩블록 (construction wood building block)을 생산하기 위하여 목재와 담수를 저장할 수 있음.

 

 

[우드 빌딩블록 Wood Building Block]
모든 종류의 에코심빌딩을 건축하기 위한 Tech-tree로 필수자재임

 

 

[워터프로세서 Water Processor]

담수를 이용하여 산업용 물을 생산함.

 

 

[퍼티파이어 Petrifier]

2개 타일 필요. 석화하다, 석질로 만들다. 이 개념은 Dev#7에서 뜬금없이 튀어나옴.    

Dev#8 에서 콘크리이트 프로세서라고 밝힘. 

건설을 위해서는 라임스톤, 모래, 담수를 갖추고 건축 드로이드에게 명령함. 

콘크리이트를 생산하며 라임스톤, 모래, 담수자원이 필요함

 

 

[스틸밀 Steel Mill]

2개 타일 필요. 제강소를 짓기 위해 철광석, 나무, 산업용수를 갖추고 드로이드에게 명령함. 

압연강을 생산하며 철광석, 나무, 산업용수를 원료로 사용함.

 

 

[골드폴리머라이저 Gold Polymeriser]

1개 타일 필요. 레이어 2 Layer2 빌딩. metallurgic chemistry branch. 

블루프린트로 리서치랩에서 Layer2 연구를 마쳐야 하며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하여야 함. 

첫 번째는 Layer2 에코심이 어스 2에서 공식 출시되어야 하며,

두 번째는 water processor가 활성상태 (active state)가 되어야 하지만 같은 프로퍼티에 있을 필요가 없음.

Gold Bar를 생산할 수 있으며 원료로 industrial water, gold가 필요함.

 

 

[페트롤 프로세서 Petrol Processor]

1개 타일 필요. 레이어 2 Layer2 빌딩. 

블루프린트로 연구를 마쳐야 하며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하여야 함.
첫 번째는 Layer2 에코심이 어스2에서 공식 출시되어야 하며,
두 번째는 리서치랩 research lab이 레이어2로 업그레이드되어야 함.
세 번째는 lignator, petrifier, water processor가 모두 활성상태 (active state)가 되어야 하지만 같은 프로퍼티에 있을 필요가 없음.
Lacquers Coatings, Paint, Self-luminous paint 등을 만들 수 있으며 원료로는 wood, limestone, industrial water, refined oil (정제오일)이 필요함.

 

 

[트랜스포테이션 Transportation]

각 에코심 빌딩은 생산된 빌딩블록을 저장할 수 있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를 창고로 옮기거나 다른 곳으로 운송할 때 사용함. 2022.05.16 현재로 3종류를 소개했음. 

더 다양한 운송차량형태가 나오고 일부는 다목적 차량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대부분은 특정목적이나 특정화물유형에 적합하게 설계됨. 

운송수단(차량은) 각각 가속도, 최고속도, 접근성, 화물중량비 등의 다양한 속성을 갖게 됨.

 

 

[호버카 Hover Car]

transport vehicle, 빌딩블록 운송수단 중 1개

 

 

[컨스트럭션 드로이드 Construction Droid]

각종 건물의 건설을 담당하는 로봇. 

유저의 명령을 받아서 추출해서 모아놓은 자원(빌딩블록)을 이용하여 건설함.

 

 

[블루프린트 Blueprints]
홀로빌딩 블루프린트와는 구별할 필요 있음. (사견임)
블루프린트는 각종 건물을 건설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것이며 연구소에서 이 블루프린트를 기반으로 연구 (등고선보고서 등 각종 에코심빌딩에 맞는 결과물)를 마쳐야 에코심 빌딩을 건설할 수 있음. 

1티어 에코심 빌딩이 출시되면 연구소에 대한 '블루프린트'를 얻을 수 있음. (출처 vlog#5)

 

[트레이딩 허브 Trading HUB]

검증된 메가시티 또는 특정한 곳에 무역허브를 설치할 것이고 이곳에는 특정한 빌딩을 설치하려고 개발 중에 있으며 이 빌딩에 얼마나 많은 작업이 필요할지는 모름. 

무역허브와 관련된 에코심 플레이와 관련된 의미심장한 작업이 있을 것임. 

무역허브는 플레이어가 거래 또는 어떤 다른 목적으로 방문하는 장소가 될 것임.

 


[로컬마켓 Local Market]

특정한 이유로 지역의 자원마켓이 생길 것임. (지역화된 무역거점)

 

 

[빌딩타입 Building Type]

residential, commercial etc. 4가지 모델 소개. 그림으로 보아 빌딩은 6개 타일 필요

주변에 다른 건물과 조화를 이루려면 3X3타일이 필요

 

'어스2 개념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